폭싹 속았수다 뜻 몇부작 인물관계도 등장인물 애순 관식

폭싹 속았수다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로 아이유, 박보검 주연의 시대극입니다.주요인물로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배우가 출연합니다. 드라마의 인물관계도와 등장인물 애순, 관식 캐릭터 설정과 드라마에 대한 기본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폭싹 속았수다 뜻

드라마 제목 ‘폭싹 속았수다’는 ‘수고많으셨습니다’라는 뜻의 제주 사투리입니다.



폭삭 속았수다 몇부작

폭싹속았수다
  • 첫방송일 : 2025년 3월7일~3월28일 / 매주 금요일 4부씩 공개
  • 채널 : 넷플릭스
  • 몇부작 : 16부작
  • 스트리밍 OTT : 넷플릭스
  • 제작사 : 팬엔터테인먼트, 바람픽쳐스
  • 연출 : 김원석 / 아스달연대기, 나의 아저씨, 시그널, 미생 외
  • 극본 : 임상춘 / 동백꽃필무렵, 쌈마이웨이, 백희가돌아왔다 외
  • 출연진 :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외


폭싹 속았수다 인물관계도

1950년대 제주에서 태어난 ‘요망진 반항아’ 애순이와 ‘팔불출 무쇠’ 관식이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드라마

당차고 야무진 소녀와 우직하고 헌신적인 소년, 제주 바닷가 작은 마을에서 한 뼘씩 자라온 두 사람의 인생은 어디로 향할까. 넘어지고 좌절해도 다시 일어서며, 세월을 뛰어넘어 피어나는 사랑 이야기.

인물관계도이미지






폭싹 속았수다 등장인물

애순 / 아이유, 문소리

‘요망진 알감자’ 같은 반항아. 여러모로 야무져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반항할 때마다 목소리는 염소처럼 떨리는 간 작은 문학소녀이기도 하다.

조금 덜 가졌지만 그늘지지 않은 아이, 햇빛 한 줄 안 내주는 야박한 담벼락 그늘 밑에도 기필코 해를 향해 고개를 바짝 치들고 있는 풀꽃처럼 요망진 인물이다.

학교조차 다니지 못할 상황에서도 시인을 꿈꾸는, 울 때도 숨김없고 웃을 땐 온 바다에 울리게 웃는 당차고 야무진 캐릭터다.


관식 / 박보검, 박해준

말없이 단단한 ‘무쇠’같은 인물, 날마다 부지런하고 성실한 인물로, 지극한 성실함이 얼마나 위대한 무기인지 아는 ‘영특한 무쇠’다.

그러나 연애엔 물복숭아라 애순이가 웃어도 고장나고, 울어도 고장난다. 그래도 충심 역시 무쇠라 처음부터 간도 안 보고 오로지 애순이만 사랑하고 존중하는 묵언의 전사다.

시대를 핑계 삼아 뻔하게 흘러갈 수 있던 애순의 일생일대 기로마다 핸들을 틀고, 사이드브레이크 당기고, 때론 엑셀을 밟아버린다.

  • 막천 (김용림) : 관식의 할머니, 무당, 천우보살
  • 춘옥 (나문희) : 애순의 할머니
  • 광례 (염혜란) : 애순의 어머니
  • 계옥 (오민애) : 관식의 어머니
  • 상길 (최대훈) : 애순의 애 둘 딸린 재취 자리 맞선남, 선장.
  • 영란 (장혜진)
  • 충수 (차미경)
  • 양임 (이수미)
  • 경자 (백지원) : 애순엄마의 동료해녀
  • 한무 (정해균) : 애순의 작은아빠. 애순의 아빠가 죽은 후 어린 애순을 가정부처럼 부리며 살던 중, 애순엄마가 애순을 대리고 나온다.
  • 병철 (오정세) : 애순의 새아빠, 속정이 깊은 한량, 애순의 엄마가 죽고 일을 시작하며 애순과 잘 지내던 중, 민옥을 집으로 들이면서 애순이 가출을 하게 된다.
  • 민옥 (엄지원) : 애순의 새엄마. 화려한 외모의 소유자로 애순과는 악연인 듯, 동지인 듯 서로 드나들며 지낸다.



폭싹 속았수다 리뷰 후기

그 시절, 가난했던 섬 생활을 보여주는 시대극, 휴먼 로맨스..

고등학생인 남녀가 야반도주를 같이 해도 여자는 퇴학, 남자는 정학을 주는, 불평등의 시대를 살아가는 당찬 여자아이의 이야기..

옛날의 생활을 보여주는 시대적 배경과 소픔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고, 누구 하나 뒤처지지 않는 연기 장인들의 조합이라, 너무 재미있습니다.

동백꽃에서의 부부였던 오정세와 염혜란이, 이번 드라마에서도 부부사이로 나오며 더 해지는 재미, 둘의 케미와 연기력이 1회부터 확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습니다.

매주 금요일 4회씩, 3번에 걸쳐 공개되는 이야기, 동백꽃의 임상춘 작가의 드라마라 더 많이 기대했고, 첫 공개 4부작은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의 밑밥을 깔 듯,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시점으로 이야기 하고 있는, 기대만큼 재미있는 드라마입니다.